반응형 전체 글417 [백준] boj 1008 A/B (division) #include int main() { int a,b; scanf("%d %d",&a,&b); printf("%.9f",a*1.0/b); return 0; } 힌트 정수와 정수의 연산은 정수의 결과를 냅니다.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003 알고리즘문제 2018. 8. 7. [백준] boj 1003 피보나치함수(Fibonacci function) #include #include int n; int dp_zero[41]={1,0,1,}; int dp_one[41]={0,1,1,}; int main() { int N,T; scanf("%d",&T); for(int i=3;i 알고리즘문제 2018. 8. 7. [한국사 요약정리] 고려의 행정조직 중앙행정조직 : 2성 6부(성종)중서문하성 재신(2품↑) - 정책심의 낭사(3품↓) - 언론 상서성 6부(이부, 병부, 호부, 형부, 예부, 공부) : 정책집행 중추원 추신(추밀 2품↑) : 군국기무(기밀) 승선(3품) : 비서 어사대 관리감찰 삼사 회계, (언론X) +) 중앙행정조직 : 2성 6부 -> 중서문하성 + 상서성(6부) +) 재신+추신 -> 최충헌이 상서성을 겸임하여 정책심의+집행 하기도 함 +) 최충헌 : 판이병부어사대사(이부 + 병부 + 어사대 + 판사를 책임지는 대표) +) 상서성 - 6부 이부 : 안정행정부(총괄) 병부 : 국방부 호부 : 재정경제부 형부 : 법률 예부 : 외교부, 교육부 공부 : 건설 +) 재추회의(재신+추신) : 도병마사 + 식목도감 +) 중방 : 재추회의기구 말고.. 한국사 2018. 8. 6. [한국사 요약정리] 고려의 성립 과정 전기 후기 초기 중기 원간섭기 말기 호족 문벌귀족(중앙) 무신 -> 권문세족 6두품 향리(지방) 신진사대부 +) 고려의 전기, 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무신정변(1170)이다. +) 원간섭기 : 몽골의 침략 +) 문벌귀족은 무신들에 의해 무너짐. -> 권문세족 +) 권문세족 : 몽골(원나라)에 빌붙어 성장하는 세력 +) 신진사대부 : 향리 + 성리학 수용하여 신진사대부 결성 -> 권문세족X 혁명파 사대부 (혁명) -> 조선 건국(1392) 온건파 사대부 (개혁) -> 낙향 +) 고려건국 : 궁예시대 -> 마진-태봉(철원)에서 건국 +) 사심관 : 해당 지방을 관리하는 관직으로 신라 경순왕의 항복으로 그를 사심관으로 삼음 태조 혜종 -> 정종 광종 민생안정 : 세금감면, 흑창 호족정책 : 당근 - 정략결혼, .. 한국사 2018. 8. 6. [한국사 요약정리] 고대의 문화3 고구려 백제 신라 건축 안학궁(평양 장수왕 남진정책) 미륵사(익산 무왕) 황룡사(진흥왕) 불상 금동 연가 7년명 여래입상 서산 용현리 마애삼존상 배동 석조 여래삼존상 탑목탑(남아있지 않음)미륵사지 석탑 정림사지 5층 석탑(부여)황룡사 9층목탑(선덕여왕,호국) 분황사탑(모전석탑)음악왕산악 -> 거문고자료X우륵(대가야) -> 가야금, 백결 방아타령교류일본 담징 : 종이, 먹, 호류사 금당벽화 혜자 : 쇼토쿠 태자의 스승 수산리 고분벽화 -> 다카마스고분벽화 아직기 : 한자 왕인 : 논어, 천자문 노리사치계 : 불교 호류사 백제 관음상 교류사 미륵보살 반가사유상(목조) 백제 가람(사찰) 양식 유행 도왜인 : 연오랑과 세오녀 조선술, 축제술(한인의 연못)서역각저총(씨름) : 서역인 서역 아프라시아브궁전벽화 ->.. 한국사 2018. 8. 2. [한국사 요약정리] 고대의 문화2 고구려 백제 신라 과학 천문도->천상열차분야지도(조선, 태조) 칠지도 금동대향로(부여) 금관 첨성대(선덕여왕) 고분 돌무지 무덤(장군총) ㅣ 굴식 돌방무덤 돌무지 무덤(석촌동 고분) ㅣ 굴식돌방무덤+벽돌무덤 돌무지 덧널무덤(천마총) l 굴식 돌방무덤 +) 천문도 : 천문(하늘의 질서) -> 농업중심에 영향 -> 왕권강화 +) 칠지도 : 백제(근초고왕) - 왜의 교류관계 +) 첨성대 : 삼국시대 선덕여왕 때 선덕여왕 업적 : 분황사, 황룡사 9층목탑 , 자장법사-불법 +) 돌무지무덤 : 고구려 온조 -> 백제 -> 계통성 +) 굴식돌방무덤 : 입구가 있고 벽면에 벽화가 그려져있음. 입구가 있어 도굴이 쉬움 -> 모줄임천장 : 모서리를 줄이는 형태 벽화 : 초기(풍속화-무용총, 집안) -> 사신도(도교) 강.. 한국사 2018. 8. 2. [한국사 요약정리] 고대문화1 상대 불교 전래 전진 -> 고구려(소수림왕) -> 신라(법흥왕-이차돈) 동진 -> 백제(침류왕) -> 일본(노리사치계) 특징 1. 왕실불교 2. 업설유행(귀족불교) 3. 호국불교 4. 민간신앙 흡수 유교교육기관고구려 중앙 : 태학(소수림왕) 고구려 지방 : 경당(장수왕 평양) 백제 : 오경(유교)박사, 역(역법)박사, 의(의사)박사 신라 : 임신서기석 역사고구려 : 유기 -> 신집(영양왕, 이문진) 백제 : 서기(근초고왕, 고흥) 신라 : 국사(진흥왕, 거칠부) +) 왕실불교 : 고대국가 -> 불교수용 -> 왕권강화 (왕이 곧 부처) ex) 신라 법흥왕~진덕여왕 귀족불교 +) 호국불교 : 불교의 교법으로 나라를 다스림. ex)신라 황룡사 9층 목탑(선덕여왕) : 탑(부처)를 이용하여 주변나라(9나라)들이.. 한국사 2018. 8. 2. [한국사 요약정리] 고대 경제와 사회 고대경제 삼국 남북국(통일신라) 수취제도 조세 기준 : 戶(재산정도) 1/10 곡물 공물 특산물 특산물 역 노동력(요역, 군역) - 16~60세 男 정책 진대법(고국천왕) 정전(성덕왕) : 국가토지지배력↑ 경제활동 농업 철제농기구 보급 우경장려(지증왕) 시비법X -> 휴경농법 상업 동시(소지마립간) 동시전(지증왕) 당항성 -> 중국직교역 공무역 동시+서시,남시 동시전+서시전,남시전 공무역+사무역 수공업노비수공업 -> 관영수공업관영 +) 戶 : 곡물(조) + 포(세 = 인두세) +) 민정문서 : 수취제도의 증거 한 마을에서 세금을 내는 기준이 적혀있는 문서. 서원경(청주)지역 문서를 도다이사(일본)에서 발견 촌주가 매 3년마다 작성. 촌락 단위로 세금부과 중앙 통제력↑ +) 진대법 : 춘대추납(봄에 곡식을.. 한국사 2018. 7. 30. [한국사 요약정리] 10. 토지제의 이해 +) 토지제(옛날의 공무원) : 녹봉(쌀, 옷감) + 수조권 +) 수조권 : 가을이 되면 해당영토의 집을 찾아가 세금을 걷을 수 있음. 개념 +) 수조권 : 공전 vs 사전 (*세금을 걷을 수 있는 권리 ) 공전 : 수조권자가 국가 (공전이 수조권자에게 세금을 냄 = 조세(소득세 개념)) 사전 : 수조권자가 개인 (국가를 위해 일을 하는 사람. 즉 공무원) (사전이 공무원에게 세금을 냄) +) 소유권 : 국유지 vs 사유지 국유지 : 소유자가 국가 사유지 : 소유자가 개인 +) 전주전객제 : 전객 -> 전주에게 세금을 내야함. 전주 : 수조권자 (국가 or 관리) 전객 : 소유권자 (개인) +) 지주전호제 : 땅을 빌려 쓴 대가로 지불 (지대) 지주 : 소유권자 전호 : 소작농(땅을 빌려 농사를 짓는 사.. 한국사 2018. 7. 29. [한국사 요약정리] 9. 발해 발해 북국과 남국을 합쳐 남북국(유득공, 발해공) 국제관계 흑수 말갈 - 당나라 - 신라 돌궐 - 발해 - 일본 발해의 성장과정 7C(698년) 8C 8C 대조영 무왕 문왕 동모산 발해건국 연호 : 인안 흑수말갈X 일본과의 교류 산둥공격(by 장문휴) 연호 : 대흥 도읍 : 중경->상경->동경 친중국 신라도 9C 10C(926) 선왕 선왕 요동 확보(=고구려) 해동성국 거란의 침략(멸망) 백두산 폭발 부흥운동 +) 무왕은 전쟁을 중심, 문왕은 평화를 지향 & 체제안정 +) 친중국 : 중국과 친하게 지냄 +) 신라도 : 신라와의 교류 +) 백두산 폭발 : 일본에서도 화산재가 발견될 정도로 크게 폭발 -> 발해의 혼란 +) 발해 부흥운동 : 후발해, 정안국 통치체제 근거 고구려 계승 증거 당 영향 정치 발해.. 한국사 2018. 7. 29. [한국사 요약정리] 8. 통일신라 신라의 삼국사기상대(삼국) : 박혁거세 ~ 진덕여왕 (성골출신 왕)중대(통일신라) : 무열왕 ~ 혜공 (진골출신 왕) 하대(후삼국) : 선덕 ~ 경순 (내물 방계 진골출신 왕) 신라 중대(신문왕)(왕권강화) 신라 하대(중대의 반대) 정치 김흠돌의 난 -> 귀족 숙청 상대등↓, 집사부 시중↑9주 5소경 김헌창의 난. 진골귀족간 왕위다툼 -> 상대등 세력↑ 집사부 시중↓ 경제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정전O 녹읍재개 사회 6두품 등용(설총) 외사정,상수리 6두품↓ 성주장군 -> 호족↑ (왕위다툼으로 지방 호족세력 강화) 문화 국학 풍수지리 선종 신라 중대 특징 +) 무열왕 : 최초 진골출신 왕, 백제를 멸망 문무왕 : 수중릉, 삼국통일 신문왕 : (표) +) 관료전 : 조세, 공납+) 녹읍 : 조세, 공납.. 한국사 2018. 7. 26. [한국사 요약정리] 7. 삼국의 대외 항쟁 삼국의 대외 항쟁 6~7C 십자외교 나당연합 백제의 멸망(660년) 돌궐-고구려-백제-일본 수나라(당나라) - 신라 백제(의자왕) -> 신라(선덕여왕) 공격 신라(김춘추) -> 고구려(연개소문) 도움요청 -> 고구려의 거절 신라(김춘추) -> 당나라 도움요청 -> 나당연합 기벌포전투 : 나당연합(승) 황산벌전투 : 나당연합(승) 백제의 멸망 백제의 부흥운동 고구려 멸망(668년) 당나라의 야욕 나당전쟁 삼국통일(676) 수나라(요서) 선제공격 수나라(문제) 수나라(양제) -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천리장성 건설 당나라(태종) - 양만춘의 안시성 전투 나당연합 공격 고구려 멸망 고구려의 부흥운동 평양 - 안동 도호부 공주 - 웅진 도목부 경주 - 계림 도독부 기벌포전투 매소성전투(의정부) 당나라 축출 대동강부.. 한국사 2018. 7. 26. 이전 1 ··· 31 32 33 34 3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