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이론

[이론] 동영상 구조 파악 0 (feat. mp4)

Beginner:) 2025. 2. 19.
320x100

이번에 MP4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데 정리겸 올린다.

 

동영상 파일을 저장할 때,

1. 이것은 동영상 파일이라 선언하고 (ftyp)

2. 데이터를 받는 족족 쌓는데 (mdat), 이 데이터가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 메모리로 기억하고

3. 데이터가 중단되면 메모리에서 꺼내와 메타데이터를 작성한다 (moov)

 

moov같은 경우는 mdat 앞에 존재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를 빨리 읽어야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으니 상황에 따라 앞에 위치하는 것도 좋다.

 

이것은 샘플파일

sample_video.mp4
0.06MB

 

곧 노가다 시작한다.

1. ftyp (File Type Box)

  • ftyp : 파일 형식 및 호환성 정보

 

2. mdat (Media Data Box)

  • mdat : 실제 미디어(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저장

 

3. moov (Movie Box)

  • moov : 전체 미디어 메타데이터 저장
    • mvhd : (Movie Header Box) 전체 미디어 정보 (시간, 버전 등)
    • trak : (Track Box) 오디오/비디오 트랙 정보
      • tkhd : (Track Header Box) 트랙 ID, 크기, 지속 시간 등
      • mdia : (Media Box) 미디어 관련 정보
        • mdhd : (Media Header Box) 미디어 시간 정보
        • hdlr : (Handler Box) 미디어 핸들러 (비디오, 오디오 등)
        • minf : (Media Information Box) 미디어 상세 정보
          • stbl : (Sample Table Box) 미디어 샘플 정보
            • stsd : (Sample Description Box) 코덱 정보 (H.264, AAC 등)
            • stts : (Time-to-Sample Box) 타임스탬프 정보
            • stsc : (Sample-to-Chunk Box) 청크 내 샘플 배치 정보
            • stsz : (Sample Size Box) 각 샘플의 크기
            • stco : (Chunk Offset Box) 청크 데이터의 위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