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1.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오디오 파일은 아날로그 사운드의 파형의 근사값을 구하여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 디지털 오디오 파일은 Samplate와 Bit depth에 의해 품질이 결정된다.
막대를 무한히 촘촘히 쌓으면 그래프의 넓이를 구할 수 있는 적분과 비슷한 개념으로 보아도 된다.
2. Simplate
Samplate는 샘플의 속도로 위 그래프로 보았을 때 x축을 담당한다. 1초에 몇개의 막대가 있는지 정하는 것이다.
보통 디지털은 44.1kHz인데, 1초에 44100의 막대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3. Bit depth
Bit depth는 비트의 심도로 위 그래프로 보았을 때 y축을 담당한다. Simplate를 얼마나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냐이다.
음량도 큰 음량, 작은 음량 또는 고주파, 저주파와 같이 단계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데시벨을 측정하는 것이 Bit depth와 연관이 있다.
4. PCM(Pulse Code Modulation, 펄스 코드 변조)
PCM이란 Simplate와 Bit depth로 이루어진 디지털 그래프를 어떠한 압축없이 그대로 저장하는 것이다.
PCM으로 저장되는 대표적인 오디오 포맷으로는 아래와 같다.
- WAV (PCM 기반 무손실 포맷, Windows 기본 지원)
- AIFF (Apple의 PCM 기반 오디오 포맷)
- FLAC (무손실 압축이 적용된 PCM)
- ALAC (Apple의 무손실 PCM 압축 포맷)
- Dolby TrueHD, DTS-HD (고음질 서라운드 오디오 포맷에서도 PCM 활용)
반응형
'0.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 CRSF 공격 예제 (0) | 2025.03.16 |
---|---|
[이론] 파일에서 Container와 Codec 관계 (0) | 2025.03.12 |
[이론] 동영상 구조 파악 1 (feat. ftyp) (0) | 2025.02.28 |
[이론] 동영상 구조 파악 0 (feat. mp4) (0) | 2025.02.19 |
NodeJS Event Loop 동작 원리 (feat. process.nextTick) (0) | 2024.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