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사 요약정리] 평등사회로의 이행

Beginner:) 2018. 10. 1.
320x100

신분제의 해체과정(자유)

모든계층 관직개방(1882) → 갑신정변(1884) → 노비세습제 폐지(1886) → 동학농민운동(1894) → 갑오·을미개혁(1894) → 호적에 신분 대신 직업(1896) → 독립협회(1898) → 형평운동(1920년대)

+) 갑신정변 : 신분제폐지주장 → 실패

+) 노비세습제 : 노비사이에 태어난 아이는 노비가 아니지만 부모는 아직 노비(노비폐지x)

+) 동학농민운동 : 신분제폐지 주장 → 실패

+) 갑오·을미개혁 : 신분제 법적폐지,조혼x, 과부재가o, 소학교설치, 여성인권↑

+) 독립협회
관민공동회 : 백정출신 박성춘 연설
헌의6조 : 피고 인권존중
중추원 관제 : 의회설립운동(참정권 - 정치적 자유권)

+) 형평운동 : 1923년부터 일어난 백정들의 신분해방운동


의식주변화

관복 → 두루마기(을미) → 양복(1900)

독상 → 겸상, 두레상

개항이전 : 고추, 후추

개항이후 : 커피, 홍차, 우동, 어묵, 호떡, 

건물크기제한x(갑오개혁)

서양식건물 : 2층 벽돌건물(독립문 - 1896, 명동성당 - 1898, 석조전 - 1910)



해외 이주민 삶

북간도

연해주

미주

19C

자연재해, 삼정문란 → 이주


1902

간도관리사 이범윤 파견


1907

통감부가 간도에 파출소 설치


1909

간도협약체결

신한촌 

알렌 - 황성신문에 의한 최초 공식이민사업(하와이)

사탕수수 노동자 → 애니깽


+) 이범윤 : 1903 간도관리사가 됨


+) 간도협약 : 일본은 청에게 간도는 청의 영토로 인정, 청은 일본에게 안봉선 철도부설권을 넘김(을사늑약으로 인해 외교권이 없어 참여를 못함)

+) 북간도와 연해주는 애국계몽운동, 의병투쟁, 무장투쟁을 하는 항일의기지 역할을 함

+) 신한촌 : 러시아 연해주에 있던 한인 집단거주지



이것만은 꼭! (드래그 하셔서 보시면됩니다.)

대한제국은 (간도) 관리사 이범윤을 파견하였다.

간도협약에서 우리가 베제된 것은 (을사)조약이 배경이다.

최초의 공식 이민자가 도착한 곳은 (하와이)다.


*최태성의 개정고급한국사 : 

http://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sbjtId=S20130001114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