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사 요약정리] 조선의 신분제도

Beginner:) 2018. 8. 30.
320x100

조선의 신분제

양천제(15C)

반상제(15~16C)

[양인]

권리 : 과거 O

의무 : 조세 O, 공납O, 역O


[천민]

권리 : X

의무 : X

[양반]

정치 : 문반 + 무반 -> 문반 + 무반 + 관직 + α(관직 가족)

경제 : 지주

사회 : 군역 면제


[중인]

하급관리 : 실무 담당, 직역 세습

서얼(중서) : 첩의자식


[상민]

서열 : 농업 -> 수공업 -> 상업

신량역천 : 수군, 봉수군, 역졸


[천민]

노비(일천즉천법), 백정



신분제 동요(임진왜란 이후)

신분제 폐지(1894 갑오1차개혁)

양반↑ 노비↓

적으로 폐지


+) 양천제 : 원칙적으로 행하며 조선시대에 계속 이용. 경국대전 규정


+) 경국대전 : 조선시대 통치 기준이 된 최고의 법전.


+) 반상제 : 15 후반~16C에서는 현실적으로 반상제를 사용


+) 서얼(중서) :  서자(양인인 첩) + 얼자(천민인 첩)의 자식으로 문과응시 X


+) 신량역천 : 양인의 신분으로 천인의 일을 하던 사람.(≒고려의 향 부곡 소)


+) 백정 : 고려의 백정은 일반 농민, 조선시대에는 도축일을 하던 천민




신분제 변천사

고대

중세

고려

현재

신분중심

골품제

폐쇄적 신분사회

신분↑ 실력↓

음서제(5품↑)

과거제(광종)

신분↓ 실력↑

문음(2품↑, 고위직X)

과거제

실력중심





이것만은 꼭! (드래그 하셔서 보시면됩니다.)

경국대전에는 조선의 신분제를 (양천)제로 규정하였다.

양반은 ()면제의 특권이 있었다.

서얼은 원칙적으로 (문과)응시가 금지되었다.

조선시대 수군, 역졸, 봉수군의 신분은 (신량역천)이었다.


*최태성의 개정고급한국사 : 

http://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sbjtId=S20130001114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