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사 요약정리] 조선후기 통치체제 변화

Beginner:) 2018. 9. 3.
320x100

행정조직변화

 

전기(16C)

1592

후기

체제

의정부 6조

비변사

비변사

군사회의기구

여진족&일본 대비

임시기구(중종) - 삼포왜란 -> 상설기구(명종) - 을묘왜변


권력집중(최고권력기구, 왕↓) : 재상(정승) + 5조판서(공조X) + 훈련대장 + 강화유수

3사

공론반영(공론이란 선비들의 의견, 백성X)

언론기능

자당 이익 반영

전랑

인사권 : 이조(문반) 병조(무반) 정랑 좌랑

자대권 : 후임자 천거(추천)

통청권 : 3사 선발 권한

인사권 : 자당 인사 추천에 급급
자대권 : 숙종,영종 폐지시도, 부활 -> 정조 때 폐지

통청권 : 영조 때 폐지


+) 자대권과 통청권은 중종때부터 시행


+) 비변사 + 3사 + 전랑은 붕당들이 장악하기위해 노력함


+) 훈련대장 + 강화유수 -> 해정(외교) + 군사



군사조직 변화(중앙군)

5위

5군영

정군(의무병) + 특수병 + 갑사(직업군인)

훈련도감 + 어영청 + 충융청 + 수어청(남한산성) + 금위영


+) 5위 -> 5군영 체제변환 이유 : 대립제, 방군수포제에 의해 운영불가 -> 모병제 전환


+) 훈련도감(선조) : 직업군인(모병제), 삼수미(월급)

포수(총) + 사수(활) + 살수(창)


+) 금위영(숙종)


+) 총융청 + 수어청 -> 수도 외각 전담


+) 총융청 + 이영청 + 수어청 -> 후금항쟁(인조)


군사조직 변화(지방군)

+) 영진군 -> 속오군, 진관 -> 제승방략 -> 진관


진관체제(세조)

제승방략(중종)

진관체제(선조)

지역방어체제

많은 군인 필요

많은 외적 침입시 불리

밀집방어체제(중앙군 장수 파견)

임란초기 패배원인

속오군 구성

지역방어체제

속오군(양반~노비)


+) 제승방략 시스템으로 변환 이유 : 대립제, 방군수포제로 인한 인력↓


+) 제승방략 실패이유 : 밀집된 저지선이 깨지면 중앙군 위협↑(임진왜란 패배원인), 장군이 파견될 때 까지 시간이 걸림


+) 속오군 : 예비군적 성격의 정규군


+) 진관체제(선조)로 다시 전환시 많은 군인필요 -> 속오군을 양반~노비까지 구성(노비多)





이것만은 꼭! (드래그 하셔서 보시면됩니다.)

+) 양란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아울러 이르는말

양란을 거치며 의정부 6조가 유명무실해지고 (비변사)로 권력이 집중되었다.

양란을 거치며 중앙군은 (5위)에서 (5군영)으로 바뀌었다. 

양란을 거치며 지방군은 영진군에서 (속오군)으로 바뀌었다.

임란초기 많은 피해를 준 (제승방략)체제는 다시 진관체제로 복구되었다.


*최태성의 개정고급한국사 : 

http://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sbjtId=S20130001114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