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연삭숫돌의 선택방법
① 연삭숫돌의 선택방법
구분 | 입도 | 조직 |
일감의 지름이 클수록 | 거친 것 | 거침 |
숫돌의 지름이 클수록 | 거친 것 | 거침 |
일감의 경도가 딱딱할수록 | 거친 것 | 거침 |
다듬질면의 거칠기가 고울수록 | 고운 것 | 치밀 |
② 숫돌바퀴의 표시
WA | 60 | K | m | V | 1호 |
숫돌입자 | 입도 | 결합도 | 조직 | 결합제 | 모양 |
A | 203 | x16 | x19.1 | 3,000 m/min | 1,700~ 2,000m/min |
연삭면 | 바깥지름 | 두께 | 구멍지름 | 회전시험원주속도 | 사용원주속도 범위 |
ⓐ 입도 : 숫돌입자의 크기로 1inch2에 들어가는 구멍의 수로 표현, 일반적으로 많은 양을 절삭할 때는 거친입도, 정밀한 절삭은 고운입도를 선택
호칭 | 입도 |
거친 것 | 8, 10, 12, 14, 16, 20, 24 |
중간 것 | 30, 36, 46, 54, 60 |
고운 것 | 70, 80, 90, 100, 120, 150, 180, 220 |
매우 고운것 | 240, 280, 320, 400, 500, 600, 700, 800, 1000, 1200, 1500, 2000, 2500 |
ⓑ 결합도 : 연삭입자를 결합시킨 세기를 기호로 표기
←연질 | 중간 | 경질→ | |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알파벳순) | |||
결합도가 낮은 숫돌은 입자 마모가 많이 되어 탈락을 쉽게 해야할 때 - 단단한 재료 - 숫돌바퀴 원주속도가 높을 때 - 연삭 깊이가 깊을 때 - 접촉면이 넓을 때 - 재료면의 조직이 치밀할 때 |
결합도가 높은 숫돌은 입자가 강하거나 마모가 적게되어 탈락을 잘하지 않아도 되는 환경 - 연한 재료 - 숫돌바퀴 원주속도가낮을 때 - 연삭 깊이가 낮을 때 - 접촉면이 좁을 때 - 재료면의 미세조직이 커서 깎기 쉬울 때 |
ⓒ 조직 : 단위 체적당 입자의 밀도수에 따라 기호로 표기
- 치밀한 조직 : c
- 중간 조직 : m
- 거친 조직 : w
③ 연삭비 : 숫돌바퀴의 연삭비 = 비연삭재의 연삭된 부피/숫돌바퀴의 소모된 부피
④ 가공속도
- V = (π*D*n)/1000 [m/min]
V : 연삭숫돌의 속도
D : 연삭숫돌의 지름
n : 연삭숫돌으 회전수
* 만약 가공물과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연삭한다고 가정하면
- V = V1(연삭숫돌) - V2(공작물)
- V2의 V, D, n은 각각 공작물의 속도, 지름, 회전수가 된다.
2021.09.23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30. 연삭작업의 결함)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30. 연삭작업의 결함)
30. 연삭작업의 결함 ① 결함의 종류 ⓐ 로딩 : 숫돌의 눈메움으로 연신율이 큰 재료, 가는 조직, 조밀한 연삭숫돌을 사용할 때, 원주속도가 느릴 때, 연삭 깊이가 깊을 때 일어나기 쉽다. 결합도
park-duck.tistory.com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30. 연삭작업의 결함) (0) | 2021.09.23 |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28. 연삭숫돌의 구성) (0) | 2021.09.21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27. 연삭) (0) | 2021.08.17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26. 보링머신의 종류) (0) | 2021.08.16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25. 드릴링 머신의 종류) (0) | 2021.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