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산업기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9. 선반의 구조 및 구성)

Beginner:) 2021. 1. 23.

목차

320x100

9. 선반의 구조 및 구성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9. 선반의 구조 및 구성)

 

① 주축대 : 베드 윗면의 좌측 상단에 장착되어 주축과 베어링, 주축속도 변환장치로 구성. 가공시 흔들림 없는 지지대 역할. 주축은 긴 봉 재료를 가공할 수 있도록 중공축으로 되어 끝부분에 척을 장착하여 굽힘, 비틀림 응력에 강하게 되고 중량이 감소되어 베어링에 작용하는 하중을 줄임.

 

② 심압대 : 벧 윗면의 우측 상단에 장착되어 공작물의 길이가 길 때 지지대, 고정 역할. 드릴 같은 내경 절삭공구를 고정하기도 함. 끝부분에 모스테이퍼로 되어 드릴척을 고정.

 

③ 왕복대 : 새들과 에이프런, 공구대, 복식공구대를 장착. 맨위 공구대에 바이트를 장착한 후 절삭을 위해 공작물을 이송시킴. 

 

④ 베드(Bed) : 선반의 몸체로서 기계 각 부분의 무게나 일감의 무게, 절삭저항 등 여러가지 외력을 받음. 주죽대, 심압대, 왕복대를 장착하고 있음. 절삭에도 변형 또는 마멸이 되지 않도록 강성을 필요로하는 고급주철 또는 합금주철을 주로 사용.

 

⑤ 척 : 공작물을 물어

 ⓐ 단동척 : 조의 끝부분과 척의 측면이 만나는 곳에 4개의 구멍을 각각 조여 4개의 조도 각각 움직여 공작물을 고정,  편심가공이 가능하고 공작물의 중심을 맞출 때 숙련도가 필요하여 정밀 높은 공작물 가공 가능.

 ⓑ 연동척 : 척의 측면에 1개의 구멍을 조여 3개의 조가 동시에 움직여 공작물을 고정. 공작물의 중심을 빨리 맞출 수 있으나 정밀도는 단동척에 비해 떨어짐.

 ⓒ 유압척 : 연동척과 같은 형식이나 조를 유압으로 작동.

 ⓓ 마그네틱 척 : 원판안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전류를 흘려보내 공작물을 고정

 ⓔ 콜릿척 : 3개의 클로를 움직여 직경이 작은 공작물을 고정. 주축의 테이퍼 구멍에 슬리브를 꽂은 후 콜릿 척을 끼워 사용.

 ⓕ 공기척 : 공작물을 가공하는 중에도 설비를 정지시키지 않고 공작물을 제거하거나 삽입할 수 있는 척. 지름 10mm정도의 균일한 가공물 대량생산에 적합.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9. 선반의 구조 및 구성)
그림) 단독척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9. 선반의 구조 및 구성)
그림) 연동척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9. 선반의 구조 및 구성)
그림) 유압척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9. 선반의 구조 및 구성)
그림) 마그네틱 척

 

2021/01/31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10. 선반 부속장치)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10. 선반 부속장치)

10. 선반의 부속장치  ① 방진구 : 가늘고 긴 일감이 절삭력과 자중에 의해 휘거나 처짐을 방지 - 고정 방진구 : 베드위에 고정, 원통 깎기, 끝면 깎기, 구멍 뚫기 등 - 이동 방진구 : 왕복대(새들)...

park-duck.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