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먼저 apt 업데이트 & 패키지 업그레이드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2. vsftpd 설치
sudo apt-get install vsftpd
3. vsftpd 설정
sudo vim /etc/vsftpd.conf
설치시 생성된 파일에 주석으로 간단한 설명들이 적혀있다.
나의 경우에는 아래의 옵션을 추가
local_enable=YES
write_enable=YES
local_umask=022
chroot_local_user=YES
chroot_list_enable=YES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allow_writeable_chroot
utf8_filesystem=YES
local_root=/my_disk
나는 하드디스크를 ftp로 설정할 것이기 때문에 local_root를 /my_disk로 설정하였고 자동마운트 시켜놨다.
2022.11.30 - [프로그래밍/Raspberry PI] - [라즈베리파이] 외장 하드디스크 마운트하기
[라즈베리파이] 외장 하드디스크 마운트하기
1. 외장 하드디스크검색 sudo blkid 나의 경우 /dev/sda1에 잡혀있고 포맷형식은 ext4이다. sda1이란 디스크 이름으로 나와 다를 수 있다. 각자의 디스크 이름을 기억해둔다. 리눅스계열의 경우 ext4로 포
park-duck.tistory.com
더 많은 옵션은 아래의 링크에 있다.
http://vsftpd.beasts.org/vsftpd_conf.html
나의 경우 포트포워딩에서 포트를 다르게 쓰기 때문에 포트번호를 그대로 두지만,
21번 포트는 피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 22번 등 잘 알려진 포트들은 쭝국에서 접근을 시도하기 때문에 가급적 피하자)
chroot_list_file을 따로 생성해주자
sudo vim /etc/vsftpd.chroot_list
파일편집기를 열어 계정이름을 적는다.
4. 시작
서비스 재시작&자동시작 등록
sudo systemctl restart vsftpd
sudo systemctl enable vsftpd
이후 서비스상태를 확인한다.
sudo systemctl status vsftpd
프로세스도 확인해보고 ...
ps -ef | grep ftp
포트도 확인해본다.
포트번호로 확인하고 싶으면 netstat -tnlp를 사용
netstat -tlp
home디렉토리 설정
https://xenostudy.tistory.com/479
filezila로 연결한 모습이다.
local_root가 /my_disk이기 때문에 /my_disk가 먼저 열린다.
그리고 guest 유저를 하나 추가했다.
2022.12.04 - [프로그래밍/Raspberry PI] - [라즈베리파이] 유저 추가하기
[라즈베리파이] 유저 추가하기
게스트용 ftp 접속을 위한 유저를 추가하려 한다. sudo 권한은 추가하지 않을 거지만 방법은 일단 추가한다. [유저 추가] sudo adduser -m guest1 -m 옵션은 guest1의 홈 디렉터리를 만든다. ftp root를 /my_disk
park-duck.tistory.com
추가한 유저로 로그인 해보면 chroot_local_user 옵션으로 인해 상위디렉토리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document를 읽어보면 홈디렉토리라 되어있는데 local_root 옵션으로 인해 홈디렉토리가 local_root이 되는 것 같다.
'프로그래밍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Code] ssh (Linux, Raspberry pi, Server 등) 연결하기 (0) | 2023.01.21 |
---|---|
[라즈베리파이] 유저 추가하기 (0) | 2022.12.04 |
[라즈베리파이] 외장 하드디스크 마운트하기 (0) | 2022.11.30 |
[라즈베리파이] 미러링&미러사이트 변경 (0) | 2022.11.25 |
[라즈베리파이] OS 이미지 굽기 (0) | 2022.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