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외장 하드디스크검색
sudo blkid
나의 경우 /dev/sda1에 잡혀있고 포맷형식은 ext4이다.
sda1이란 디스크 이름으로 나와 다를 수 있다. 각자의 디스크 이름을 기억해둔다.
리눅스계열의 경우 ext4로 포맷하는 것을 추천한다.
UUID는 자동 마운트 설정할 때 필요하니 기억해둘 것
2. 외장 하드디스크 마운트
sudo mkdir /my_disk
sudo mount /dev/sda1 /my_disk
마운트한다 디스크이름을 ~경로에.
ls명령어로 확인하면 이전에 있던 파일들이 그대로 존재한다.
3. 자동 마운트
라즈베리를 종료하면 외장하드디스크도 언마운트된다. 다시 부팅을 하면 다시 마운트해줘야하는데 귀찮으니 자동 마운트 설정을 한다.
sudo vim /etc/fstab
UUID=[디스크 UUID] [마운트 경로] [포맷 형식] [마운트 옵션] [백업 옵션] [파일 체크 옵션]으로 추가한다.
포맷 형식은 auto 입력시 자동으로 입력된다.
마운트 옵션으로는
- default: rw, suid, dev, exec, auto, nouser, async 옵션이 기본으로 지정됨. 일반적으로 이 옵션을 가장 많이 씀
- sync/async: 파일시스템에 대한 입출력을 동기적또는 비동기적으로 실행
- auto: 모든 파일시스템을 부팅 또는 mount -a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자동으로 마운트.
- noauto: 파일시스템이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되지 않고 mount -a 를 실행했을 때만 마운트 됨
- exec/noexec: 파일시스템의 바이너리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금지
- suid/nosuid: suid, sgid비트의 실행을 허용/금지
- ro: 읽기모드로 마운트
- rw: 읽고쓰기모드로 마운트
- user: 모든 사용자가 파일시스템 마운트 가능
- nouser: 오직 루트사용자만 파일시스템을 마운트 가능
- netdev: 네트워크가 활성화 된 후에 장치를 마운트 함. 파일시스템유형이 nfs인 경우에만 적용됨
- nofail: 파티션이 존재하지 않아도 오류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음
참고 : https://m.blog.naver.com/emperonics/221896394131
sudo reboot하여 자동마운트가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유저 추가하기 (0) | 2022.12.04 |
---|---|
[라즈베리파이] ftp 서버 설정하기 (0) | 2022.12.04 |
[라즈베리파이] 미러링&미러사이트 변경 (0) | 2022.11.25 |
[라즈베리파이] OS 이미지 굽기 (0) | 2022.11.25 |
[라즈베리파이] Teachable Machine 오디오 프로젝트(feat. 오프라인) (0) | 2022.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