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01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14. 선반가공 - 테이퍼가공) 14. 선반가공-테이퍼가공 ① 테이퍼가공 - 테이퍼 가공 선반에서 테이퍼 가공을 할 때에는 심압대를 편위시키거나 공구대를 원하는 각도만큼 틀어서 가공 - 심압대 편위량 : L*(D-d)/2*l L : 공작물 전체 길이 D : 큰 지름 d : 작은 지름 l : 테이퍼 길이 ② 복식 공구대 - 복식 공구대는 테이퍼 각이 크고 길이 짧은 가공물을 복식 공구대에 선회시켜 가공하는 데에 유용 2021/02/12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15. 선반가공 - 나사가공)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15. 선반가공 - 나사가공) 15. 선반가공 - 나사가공 ① 복식 공구대를 이용하여 주축의 회전속도와 이송나사의 이송속도를 비율적으로 맞추어 나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21. 2. 11. 수학기호 특수문자 (Math special character) Α α : 알파 (ALPHA) Β β : 베타 (BETA) Γ γ : 감마 (GAMMA) Δ δ : 델타 (DELTA) Ε ε : 입실론 (EPSILON) Ζ ζ : 제타 (ZETA) Η η : 에타 (ETA) Θ θ : 세타 (THETA) Ι ι : 이오타 (IOTA) Κ κ : 카파 (KAPPA) Λ λ : 람다 (LAMBDA) Μ μ : 뮤 (MU) Ν ν : 뉴 (NU) Ξ ξ : 크사이 (XI) Ο ο : 오미크론 (OMICRON) Π π : 파이 (PI) Ρ ρ : 로우 (RHO) Σ σ : 시그마 (SIGMA) Τ τ : 타우 (TAU) Υ υ : 웁실론 (UPSILON) Φ φ : 화이 (PHI) Χ χ : 카이 (CHI) Ψ ψ : 프사이 (PSI) Ω ω : 오메가 (OMEGA) √ :.. 기타 2021. 2. 11. [원주율] [파이] [PI] [3.14] 특수문자 π ㅎ한자를 눌려서 돌리다보면 나온다. 기타 2021. 2. 11.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13. 선삭의 절삭과 이송) 13. 선삭의 절삭과 이송 ① 절삭속도 - 원둘레 * 회전수 / 1000 [m/m] -m/m 단위 주의! π * D * n / 1000 [m/m] * π : 원율, D : 지름, πD : 원둘레, n : 회전수(rpm) ② 이송속도(가공시간) - 이송속도 : 거리/회전 (mm/rev) *한바퀴에 거리(mm)만큼 이송 - 주축 회전수 : rev/min *rpm은 revolution per minute의 약자, 즉 1분에 rev만큼 회전함(1바퀴에 1/900분 소요) - 분당 이송속도 : mm/min - 가공 전체 시간 : 전체길이/분당이송속도 [m] ③ 가로 이송 - 회전하는 공작물에 공구를 가로로 이송하면 공작물을 절삭하여 지름이 줄어듬. ex) 핸들이 한 바퀴 돌 때 리드가 4mm 라면 한 번 회전할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21. 2. 11.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12. 선반가공-절삭가공) 12. 선반가공 - 절삭가공 ① 선반가공 - 선반은 척에 공작물을 물리고 주축의 공작물을 회전시켜 공구대에 장차된 바이트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깎기 때문에 기어처럼 치형을 생성할 순 없다. 심압대에 드릴 커터를 설치하여 척에 물린 공작물의 끝부분에 구멍가공은 할 수 있다. ② 선반가공의 방진구 - 선반에서 고정식방진구는 베드에, 이동식방진구는 새들에 설치한다. ③ 표면거칠기 - 선삭작업에서 표면의 거칠기는 원의 호모양을 띄며 노즈의 반지름이 클수록 또는 이송속도가 작을수록 매끄러운 표면정도를 가진다. 이외에 절삭속도를 높이거나 공구의 경사각을 크게하면 표면정도가 좋아진다. ④ 센터가공 : 센터드릴을 장착하고 센터를 지지할 수 있는 구멍을 가공. 일반적으로 60º를 가장 많이 사용. 참조) ei.co.kr/..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21. 2. 7. PC카톡 단축키( 잠금, 종료, 캡처, 줄바꿈,로그아웃 등) 새로운 채팅 Ctrl + N 잠금모드 ( 톡방에서도 가능 ) Ctrl + L 로그아웃 Alt + N 종료 ( 메인창에서 눌러야 함, 톡방에서 기능X) Alt + X 메인창 열기 Ctrl + Shift + M 줄바꿈 Shift + Enter 캡쳐하기 ( 명령어는 카톡창이 포그라운드 일 때, 캡처는 카카오톡 창 이외에도 가능 ) Ctrl + Shift + C 캡쳐부분은 신기하다. 윈도우에 기본으로 탑재된 캡처도구와 비슷하다. 그 외 cs.kakao.com/helps?articleId=1073182634&service=8&category=24&device=15&locale=ko 고객센터 카카오 고객센터를 통해 각 서비스 도움말을 확인해보세요. cs.kakao.com 기타 2021. 2. 3. [파워포인트/ppt] 유튜브/동영상 간단 추가 파워포인트에 동영상을 추가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1. 상단 메뉴툴바에서 삽입버튼 2. 온라인비디오 클릭 ( 로컬에 동영상이 있으면 내PC의 비디오 클릭 ) 3. 유튜브 검색 시와 같이 검색 or 유튜브 동영상 오른쪽클릭, 소스코드 복사하여 Embed태그 붙혀넣기. 기타 2021. 2. 2.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11. 선반의 종류와 규격) 11. 선반의 종류와 규격 ① 선반의 종류 - 보통 선반 : 가장 일반적인 범용선반. 수직가공, 수평가공, 절단가공, 홈가공, 나사가공 등이 있음. - 자동 선반 : 보통선반에 자동화 장치를 부착. 대량 생산에 적합 - 정면 선반 : 길이가 짧고 지름이 큰 공작물 절삭에 사용. 베드 길이가 짧고 심압대가 없는 경우가 많음. 단면절삭에 주로 사용 - 터릿 선반 : 터릿에 6~8종의 절삭공구를 장착한 후 가공 순서에맞게 절삭. 대량생산에 적합. 절삭공구를 육각형 모양의 드럼에 장착. - 공구 선반 : 보통선반과 같은 구조에 테이퍼 깎기 장치와 릴리빙 장치를 장착. 보통선반보다 정밀도가 높음. - 탁상 선반 : 크기가 작아 소형공작물 가공에 사용 - 차륜 선반 : 면판이 부착된 주축대 2대를 마주세운 구조.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21. 1. 31.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요약]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10. 선반 부속장치) 10. 선반의 부속장치 ① 방진구 : 가늘고 긴 일감이 절삭력과 자중에 의해 휘거나 처짐을 방지 - 고정 방진구 : 베드위에 고정, 원통 깎기, 끝면 깎기, 구멍 뚫기 등 - 이동 방진구 : 왕복대(새들)에 고정. 왕복대와 함께 이동. 일감을 2개조로 지지 ② 돌림판 및 돌리개 : 척을 선반에서 떼어내고 회전센터와 정지센터로 가공물을 고정시켜 작업할 때 고정력이 약해 부가장치로 돌림판 및 돌리개를 장착. ③ 맨드릴(심봉) : 기어, 벨트 풀리 등과 같이 구멍과 외경이 동심원이고 직각이 필요한 경우, 구멍을 먼저 가공하고 구멍에 맨드릴을 끼워 외경과 측면을 가공하는 부가장치. ⓐ 표준 맨드릴 : 1/100 ~ 1/1000 테이퍼 정도. ⓑ 갱 맨드릴 : 두께가 얇은 공작물 여러개를 한 번에 고정시켜 가공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21. 1. 31. [NodeJS] Buffer 함수 사용법 2020/12/30 - [기타] - 아스키코드표 (ASCII) 아스키코드표 (ASCII) 아스키 코드표입니다. 통신용으로 보기 편하게 10진수, 16진수, 문자표 매칭입니다. 이외는 엑셀파일과 텍스트 파일 첨부하니 엑셀의 경우 열을 숨겨서 보시면 편합니다. (sheet 2개입니다.) park-duck.tistory.com ↑↑↑↑↑↑↑↑↑↑↑↑↑↑↑↑↑↑↑ Buffer사용에 필요한 16진수 코드표 보기 Buffer.alloc() size fill | | | (Default: 0) encoding 예제) Buffer.alloc(10); Buffer.alloc(10,"A"); Buffer.alloc(10,"ABCD"); Buffer.from() 1. arrayBuffer | byteOffset length .. 프로그래밍/NodeJS 2021. 1. 26. [아두이노] undefined reference errors undefined reference errors, trying to make a library 선언은 했으나 정의가 없는 경우 등 래퍼런스를 읽어오지 못할 때 생기는 에러. 나같은 경우 래퍼런스로 enum을 선언했는데 버전이 바뀌면서 enum을 래퍼런스로 전달이 불가함으로 읽어오지 못하여 에러가 뜸 프로그래밍/Arduino 2021. 1. 26. [아두이노] EEPROM byte 읽기/쓰기 EEPROM이란 아두이노 보드(마이크로컨트롤러)가 꺼져도 값이 유지되는 저장공간입니다. EEPROM에는 512 byte의 EEPROM이 있습니다. 1. 헤더불러오기 #include 먼저 EEPROM을 사용하려면 해당 헤더를 불러와야합니다. 2. 값 쓰기 EEPROM.write(address,value); 첫번째 매개변수 address에는 주소값(0~512) 두번째 매개변수 value에는 byte 값(0~255)를 씁니다. EEPROM.update(address, value); EEPROM.update란 EEPROM.write와 유사하지만 EEPROM.wirte 경우 3.3ms 시간이 걸리는데 이는 꽤 긴시간입니다. EEPROM.update를 사용할 경우 값을 쓰기전에 해당주소의 값과 내가 쓸 값이 같을경.. 프로그래밍/Arduino 2021. 1. 26.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4 다음 반응형